[스크랩] 티베트의 자연과 역사 티베트의 자연과 역사 ㅣ Ⅱ. 티베트이야기 2005/04/11 출처 http://hompy.buddhapia.com/homepy/dalai-lama/menu/0000000068_302.asp webmaster 자연에 순응하는 티베트사람들의 삶 원래 티베트에는 티베트 족이 중심으로 약간의 한족, 회족, 몽고족이 살고 있었는데 중국의 이주정책으로 인해 지금은 한족의 수가 티베트인을 ..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동북공정 끝났다...이젠 뭘 하지? --> 동북공정 끝났다... 이젠 뭘하지? '고구려 빼앗기로' 인식 즉흥 대응 '반성론' 김태경(gauzari) 기자 --> ▲ 29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는 고구려 연구회 주최로 '중국의 동북공정 5년-그 성과와 한국의 대응'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에 보이는 발표자는 서길수 서경대 교수. ⓒ 오마이뉴..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14대 달라이 라마의 삶 티베트인의 의식 중 가장 특이한 것은 그들의 죽음을 치르는 의식이다. 이들의 장사 의식은 모두 다시 세상에 태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사람이 티베트의 영도자 달라이 라마, 판첸 라마, 그리고 몇몇 고승들이다. 특히 티베트를 위한 영원한 헌신을 서원한 제1대 달라이..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6] 제14장 - 평화의 씨앗 인간은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창의성을 발휘하려면 자유가 필수불가결하다. 나는 망명지에서 자유롭다. 31년이 넘는 망명생활을 하면서 자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민족이 우리 조국에서 똑같이 자유롭지 않고서는 내..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5] 제12장 - 신통력과 신비 불교 사상에 따르면 의식에는 여러 단계가 있고, 미묘한 단계는 죽음의 순간에 감지되는 감각들이다. 탄트라를 수행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수행자로 하여금 죽음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죽음의 경험이야말로 가장 강한 영적 깨달음을 획득할 수 있는 계기가 되..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4] 제8장 - 1959년, 참담했던 그 한 해 1960년에 티벳 자유투사들에 의해 탈취된 인민해방군의 한 문서에 따르면 1959년 3월에서 그 이듬해 9월 사이에 군사작전에 의한 사망자는 87,000명이라고 기록되어 있었다. (이 숫자는 자살, 고문, 기아로 이한 사망자는 제외된 것이다.) (176) 여러 해 동안 인도 국민과 정부..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3] 제5장 - 공산당 지배하의 중국 다시 중국으로 여행을 계속하려고 할 때, 좀 이상한 것을 발견했다. 거기에는 티벳 수호신을 조각한 석상이 있었다. 물소 머리 형상의 그 석상이 아주 기민하게 움직였다. 처음에 보았을 때는 표정을 감춘 채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동쪽을 바라보며 매..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2] 제3장 - 침략, 몰아치는 폭풍 1950년 여름 가극 축제가 열리기 전날 노르불링카 욕실에서 막 나오는데 발 밑의 땅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처음엔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했다......바로 그때 먼 곳에서 폭발음이 크게 들려왔다......하늘을 쳐다보고 있을 때 또 폭음이 들렸다. 폭음은 계..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달라이 라마 자서전「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1] 「 유배된 자유 (Freedom in Exile) 」 정신세계사, 1991년. 심재룡 옮김. 머리말 사람들은 ‘달라이 라마’라는 이름에 저마다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 같다. 어떤 사람들은 달라이 라마를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의 현신이라 생각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달라이 라마를 ‘세속적인 왕’이라고 생각.. 카테고리 없음 2008.01.02
[스크랩] 티베트 탕카(Thanka)의 종교와 예술 세계 글 : 이순미(고려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 과정, 한빛재단 학예연구원) 출처: http://tibet.or.kr/frame.html '문화 예술' 탕카(Thangka)란 티베트 불교회화인 축(軸)형태의 그림을 말하는데, 우리가 사원을 장엄하기 위해 거는 불화, 즉 탱화(幀畵)라고 할 수 있다. 티베트는 해발 4,000m 이상의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 카테고리 없음 200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