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지붕 티벳(吐蕃)의 음차 문화
― 티벳 차의 종류와 음차방법을 중심으로 ―
村顔 ․ 朴永煥 (歷史學 博士/ 현,동국대학 강사)
필자는 예전에 《다담(茶談)》의 지면을 통해 티벳과 중국 한족들 사이에서 일 천여 년의 긴 세월을 두고 진행되어 온 <한장다마무역(漢藏茶馬貿易)>이란 주제를 갖고 수 차례 원고를 발표한 적이 있다. 지금 필자가 소개하고자 하는 <티벳의 차문화>는 <한장다마무역>과는 전혀 무관하지 않기에 서두부터 이 이야기를 먼저 언급하였다.
독자들이 필자가 소개하고자 하는 티벳의 차문화에 대해 개괄적이거나 또는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장다마무역>에 대한 예비지식이 필요하거니와 혹은 독자들이 예전에 읽어보았던 필자의 졸고인 <한장다마무역>에 대한 내용이 이해가 쉽지 않았다면, 지금 얘기하고자 하는 티벳의 차문화를 열독한 뒤에는 한층 그 이해가 쉬울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즉, <한장다마무역>과 <티벳의 차문화>에 관한 이야기는 둘이 아닌 하나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며, 두 가지 이야기는 서로에 포함되기도 하며, 서로를 포함시키기도하는 동질의 문제이며 본질적으로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티벳의 일반적인 음료로는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가 있다. 하나는 차(茶)요, 또 하나는 술(酒)이다. 여기서 술에 관한 얘기는 본 잡지의 범주를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하겠다. 인터넷과 언론 매개체의 발달로 인해 차를 좀 공부하였거나 조금의 취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티벳의 차(茶)”하면 아무런 주저함 없이 “쑤여우차(酥油茶)”를 꼽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다음은 선뜻 설명을 이어가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티벳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많이 대중화 보편화 된 것도 사실이지만, 반면에 그만큼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더욱이 차에 대해서는 상당한 부분이 왜곡되어 왔거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허다하다.
티벳 음차의 역사
티벳(투뽀어:吐蕃) 음차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 전에 시작되었으며, 그 역사는 투뽀어(吐蕃)1)왕국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티벳의 역사서인 《한장사집(漢藏史集)》의 기록을 보면 투뽀왕조의 제36대 짠푸(贊普:왕)2)인 뚜쏭망뿌즈(都松莽布支:676-704년)의 재위시기에 티벳땅에는 이미 찻잎(茶葉)과 자기(瓷器)가 발견되었다. 티벳 사료에 의하면 “ 티벳 왕인 뚜쏭망뿌즈(都松莽布支)가 중병에 걸려 궁중에서 조용히 요양을 하고 있는데, 하루는 한 마리의 아름다운 작은 새가 입에다 푸른 나뭇가지를 입에 물고 날아와 왕궁 옥상의 처마 위에 떨어뜨려 놓고서 옥상에 앉아 아름답게 지저귀고 있었다.
그 다음날 해가 뜨자 작은 새는 다시 날아와서 즐겁게 재잘거리며 짠푸(왕)의 주의를 끌었다. 짠푸는 곧 사람을 시켜 녹색의 나뭇가지를 주워 오게 하였는데, 이것은 여태껏 전혀 보지 못했던 녹색 나뭇잎이었다. 왕은 신기해하며 그 나뭇잎의 뾰족한 끝부분을 조금 입에 넣고 맛을 보았다. 그 나뭇잎의 맛은 맑은 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또한 맑아지고, 입 안에서는 생진(生津)을 느끼게 되었다. 즉시 차주전자에 그 잎을 넣은 뒤 물을 붓고 끓였더니 아주 좋은 음료가 되었다. 짠푸는 이에 크게 기뻐하고, 즉시 신하들에게 명하여 투뽀어(吐蕃) 전역을 뒤지게 하여 이 나뭇잎을 찾아 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 나뭇잎은 투뽀어 땅에서는 전혀 구할 수 없는 나뭇잎이었다.
후에, 한 대신(大臣)이 고생 끝에 중국 땅에서 겨우 그 나뭇잎을 찾아서 따가지고 돌아왔다. 대신(大臣)은 그것을 삶아 음료수로 만들어 짠푸에게 바치어 마시게 하였다. 짠푸는 그것을 마시고 병을 요양하여 이내 곧 건강을 회복하였다 ”3)고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은 비록 티벳인들의 문헌상에 기록된 내용이긴 하지만, 약간의 전설적 성향이 농후하다는 것을 금새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내용의 기술에 있어서 약간의 과장이 가미되긴 해도, 완전히 터무니없는 기록이라고는 볼 수가 없다. 고대의 기록이란 대저 약간의 신비성과 과장이 늘 동반한다는 것을 우린 역사를 통해 익히 배워 왔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이후부터 티벳인들의 음차의 풍습이 생겨나게 된 것 같다.
티벳어로 “차(茶)”를 “가(檟:ja 혹은 jia)라 한다. 이것은 중국의 차에 대한 발음 중에서 가(檟)자의 음을 가차(假借)했음을 극명하게 드러냄과 동시에 중국의 한족(漢族)과 티벳민족(藏族)들의 경제문화 교류가 이미 오래 전에 이루어졌음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다음의 기록을 보면, 티벳인들의 음차의 풍속은 투뽀(吐蕃/당나라)시대에 이미 흥기하기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대해 더 이상 의심할 여지가 없다. 당나라 때 이조(李肇)가 지은《당국사보唐國史補)》하권에 투뽀어(티벳)의 음차에 대한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노공(常魯公)이 서쪽의 투뽀어(吐蕃)에 사신으로 갔는데, 천막에서 차를 다렸다. 짠푸가 묻기를 ‘이것은 무슨 물건이요?’하자, 노공이 말하기를 ‘번뇌를 씻고 갈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차(茶)라고 이릅니다.’ 하자, 짠푸가 말하기를 ‘우리 여기에도 있소.’하며 그것을 내어 오도록 명하고는 하나씩 짚어가며 말하기를 ‘이것은 수주(壽州)의 것이고, 이것은 서주(舒州)의 것이고, 이것은 고저(顧渚)의 것이고, 이것은 기문(蘄門)의 것이며, 이것은 창명(昌明)의 것이요’라고 말하였다.” 4)
이 기록은 이때 이미 절강(浙江), 호광(湖廣), 안휘(安徽) 등지에서 생산되는 명차(名茶)들이 투뽀어 왕국의 궁중의 상비(常備) 물품(物品)으로 구비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투뽀에서 음차의 풍기가 흥기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장사집》에서는 더 나아가 전문적으로 각 장(章)과 절(節)로 나누어 차의 분류에 따른 기록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열 여섯 종류나 되는 차엽의 생산지, 특징, 팽다(烹茶) 및 제다(製茶)에 걸친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5)
티벳 차와 음차방법
티벳의 대표적인 차에는 쑤여우차(酥油茶) 뿐만이 아니라, 그 외에도 두 가지가 더 있어, 모두 크게 세 종류의 차로 대별할 수가 있다. 청차(淸茶)와 티옌차(甛茶)가 그것이다.
① 쑤여우차(酥油茶)
쑤여우차(酥油茶)는 티벳인(藏族)들에게 첫 번째로 손꼽히는 음료이며, 그들에게 있어서 하루도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활필수품이다. 쑤여우차의 제작방법에는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 첫째는 차를 삶아 차즙(진한 차탕)을 내는 것이고, 그 다음은 차를 치즈와 섞는 것이다. 차와 치즈를 섞어내는 과정을 가리켜 중국인들은 “타차(打茶)”6)한다고 한다. 전차(磚茶)7)나 타차(沱茶)8)를 솥에 넣고 불을 부어 끓여서 차즙(茶汁)이 진하게 우려나오록 다린다. 그리고, 다려 낸 진한 차즙을 깨끗한 거름망에 걸러 차관(茶罐)에 담아둔다. 쑤여우차(酥油茶)를 만들 때, 차관에 담아 두었던 차즙을 필요한 만큼 꺼내고, 거기에다 적당량의 끓는 물과 소금을 첨가한다. (물론, 차즙의 양이나 물의 양 또는 소금의 양은 개인의 입맛과 기호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전문적으로 쑤여우차를 만드는 찻통(茶桶: 董莫,檟董이라 함.)에 따라 부은 다음, 거기에 다시 버터나 치즈를 넣고, 교곤(攪棍:물체를 섞는 막대기로서, 마치 우리나라 하수구 막힌 곳을 뚫을 때 쓰는 흡착기 같은 모양)을 차통의 위아래로 몇 십회 펌프질 하듯 왕복 피스톤 운동을 한다. 차즙과 물, 그리고 버터나 치즈를 잘 섞은 뒤에는 다시 찻주전자에 따르고 열을 가하여 뜨겁게 한 다음, 음용 시에 각자 차완(茶碗)에 따라 마시게 된다. 신선한 우량의 버터나 치즈로 만든 쑤여우차는 그 향기가 코 끝을 찌를 듯 향긋하며, 맛이 아주 순후(淳厚)하여 아주 맛있을 뿐만 아니라 차를 마시면 허해지는 몸의 기를 보충할 수 있어, 특히 겨울철에 마시기엔 그만이다.
티벳인들은 아침에 일어나면 아침 식사는 걸러도 쑤여우차는 만드시 마셔야 한다. 경제적 여건이 좋은 집안에서는 하루 세끼는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온종일 시도 때도 없이 쑤여우차를 마신 곤 한다. 현지에서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과거 티벳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생활은 바로 매일 쑤여우차(酥油茶)와 청과주(靑稞주)를 마시는 것이라 한다.
다 만들어진 쑤여우차는 평상시엔 차주전자(茶壺)에 담아서 화로엔 올려 놓고 보온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때 주의할 점은 끓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차맛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도시나 형편이 괜찮은 농촌의 일부에서는 전기 믹서기를 사용하여 쑤여우차를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쑤여우차를 만들 때 자신이 좋아하는 분유나 삶은 계란 및 끓인 우유의 앙금 등을 첨가하여 마시기도 한다. 다 만들어진 쑤여우차는 보온병에 담아 두었다가 수시로 편하게 마시기도 한다. 특히, 주말이나 명절 및 휴가를 맞이하여 외출할 때엔 반드시 보온병에 가득 담은 쑤여우차를 몇 병씩 휴대한다.
쑤여우(酥油茶)의 제작은 티벳족들의 음식문화에 있어서 일대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티벳족이 중국 내지의 한족(漢族)들과의 유무상통(有無相通)의 경제교류9)의 기초 위에서 자신의 환경과 물자의 조건이 서로 결합된 가운데 독창적으로 발명된 것이다.(즉,“茶馬貿易”이 漢․藏經濟交流에 있어 적극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0)
쑤여우차(酥油茶)는 영양이 매우 풍부할 뿐만 아니라, 지방의 함량이 높아 추위를 막을 수 있는 열량을 매우 많이 공급한다. 아울러 차엽에는 알칼로이드, 비타민과 미량의 원소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위를 튼튼하게 하는 생진(生津) 등이 나와 소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지방분해의 효능도 갖추고 있다.
평균 4,000미터 이상의 고원에서 육류와 치즈 및 버터 등의 고지방과 고단백질 등을 주로 섭취하며 야채의 섭취가 결핍된 유목민족에게 있어서 균형있는 영양을 섭취하기 위한 음식문화의 개선은 대단히 시급한 문제인 것이다. 이로 인해 차엽은 고원유목민족인 티벳인들의 음식생활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되었으며, 차엽의 전래는 티벳인들에게 있어 하나의 신화적인 존재가 되었다.
차엽이 티벳에 최초로 전래되었을 당시에는 질병을 고치는 진귀한 의약품으로 취급되었으며, “한장다마무역”이 흥성함에 따라 차와 티벳인들의 관계는 일상에서 더욱 더 긴밀하게 되었으며,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관계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티벳인들의 일상의 식생활에서나 손님을 맞이하고 접대할 때, 선물을 보낼 때, 그리고 혼인 및 명절 때에도 반드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이로 인해 쑤여우차는 마침내 티벳 문화를 대표하는 특색 있는 차 문화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② 청차(淸茶)
청차는 티벳어로 “가당(ja-thang)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청차는 벽돌차(磚茶)를 찻주전자에 넣고 푹 끓인 뒤, 기호에 따라 적당량의 소금을 넣으면 된다. 쑤여우차(酥油茶)처럼 버터나 치즈 또는 우유 앙금을 넣지 않은 채, 곧 바로 다완(茶碗)에 직접 따라서 마신다. 청차(淸茶) 즙은 주로 참파(糌粑:rtsam-pa)11)를 반죽할 때 많이 사용되며, 음료로 마실 때 작은 덩어리의 치즈나、버터、우유 앙금 등을 넣어 마셔도 된다. 버터나 치즈 등을 넣으면, 기름 덩어리가 찻탕수 속에 잘 녹아내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버터의 기름기가 차탕 표면으로 뜨게 될 때 마시면 된다.
요즈음 티벳 고원의 도시와 마을 거주민들 중에는 청차(淸茶)를 전통방식으로 다려서(煮茶) 마시기 보다는 녹차나 오룡차처럼 끓은 물을 부어 우려서(泡茶) 마시는 사람들이 적지가 않다. 지금은 티벳 현지에서도 중국 내지에서 생산되는 각종의 명차(名茶)를 손쉽게 살 수가 있다. 게다가, 현재 티벳 자체에서도 훌륭한 차가 많이 생산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서장림지차장(西藏林芝茶場)에서 생산되는 차엽은 천연 무공해의 우량 품질의 차로서 그 명성이 자자하다.
③ 티옌차(甛茶첨차)
티옌차(ja-mngar-mo: 甛茶) 역시 티벳인들이 무척이나 즐겨 마시는 차이다. 특히, 위장지구(衛藏地區)12)의 도시와 촌락에서 티옌차 마시기가 매우 성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티옌차관(甛茶館:티옌차를 마시는 茶館)의 영업도 대단히 융성하다.
티옌차를 만드는 방법을 보면, 앞에서 거론한 쑤여우차(酥油茶)나 청차(淸茶)와는 달리 홍차(紅茶)를 이용한다. 우선 홍차(紅茶)를 진하게 다려 차즙을 만든 뒤, 끓여낸 찻잎은 거름망에 걸러낸다. 그리고 거기에 우유(신선한 우유나 분유)와 흰설탕을 넣는다. 그 향이 짙고 맛이 달며 느끼하지 않는 것이 특색이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마시기가 매우 좋아 이곳 위장(衛藏)지역의 티벳사람들에게 대단히 애호되고 있는 차이다. 티옌차(甛茶)는 중국어로 “달콤한 차”란 뜻이다. 티옌차는 만드는 방법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지방(脂肪)의 함량도 극히 적어 특히 이곳 젊은이들에게는 가장 환영받는 차이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티옌차는 의외로 티벳 전역의 도시와 촌락에 넓은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티벳 전역으로 빠른 속도로 보급 확산되어 가는 추세여서 전통 티벳차의 대표격인 쑤여우차(酥油茶)의 소비와 명성을 추월하여 가고 있는 실정이다.
불암산 자락에서 촌안(村顔) 합장
자료출처:<< 다담(茶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