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주의와 소수 민족들의 저항
|
찰리 호어(Chalie Hore)의 『바로 보는 중국 현대사 - |
중국에서의 민족 문제는 러시아에서처럼 중심적인 중요성을 띠어본 적이 없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93% 이상이 한족(漢族)이다. 많은 소수 민족의 민족주의자들은 이 통계 수치가 너무 낮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맞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수치가 현실보다 과장되어 있다.10개의 주요 소수 민족 가운데 4개(가장 큰 한 집단을 포함하여)는 일상 언어나 관습에서 한족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철저하게 동화되었다. 예컨데, 1982년 인구 통계는 만주족을 430만 명으로 책정했지만, 만주어는 20세기 대부분의 시기 동안 동북부 지역에서 소멸되었다. 만주어를 쓰는 가장 큰 단일 집단이 신강성 최서단의 계곡에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18세기에 거기서 주둔한 변경 수비대의 후예들이다. |
| |||
| ||||
회교도들의 저항 |
| |||
|
회교도들과 티베트인들이 주로 저항하는 집단이다. 중국의 1,500만 회교도는 여러 민족들로 나뉘어져 있다. 그 가운데 대체로 절반은 민족학상으로나 언어학상으로나 중국인이지만, 공식적으로는 소수 민족(回族)으로 분류되는데, 그 이유는 오직 그들의 종교 때문이다. 나머지 대부분은 위구르인이지만, 그러나 상당수의 카자흐인과 키르기즈인이 있으며 이들은 러시아 접경지대에 산재한 훨씬 더 큰 집단들과 긴밀한 연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시위들은 1989년의 천안문 항의 운동 때 일어났다. 시위는 소수 민족들의 성 관습에 관한 책을 둘러싸고 시작되었는데, 그 책은 회교도를 조잡하게 모독하는 내용이었다. 1989년 5월 12일에 북경에서 2천 명의 시위대가 그 책의 판매 금지를 요구하는 항의 행진을 벌였다. 다음날 1만 명 이상이 난주(蘭州)에서 항의 행진을 했고, 거기서 뒤이어 폭동이 일어났다. 정부의 응답은 신속했다. 성서성에서는 5월 15일까지 9만 권의 책을 관리들이 소각했다. 그러나 같은 날에 회교도의 시위로서는 최대 규모인 거의 10만 명이 청해성(靑海省)의 5개 시·읍에서 행진을 했다(청해성의 공식 인구는 4백만을 약간 넘는다). 우르무치에서는 수천 명이 “돌멩이와 쇠파이프를 들고 지방 당 본부와 무장 경찰대를 공격했다.” 이틀 후 정부는 그 책을 전국적으로 판매 금지했다. |
| ||
| ||||
티베트 민족의 저항 | ||||
|
그러나 중국 지배에 반대하는 민족주의적 반란의 중심은 여전히 티베트의 반란이다. 티베트인들은 다른 어떤 소수 민족보다도 더 중국 지배로 인해 고통 받았고, 그리하여 1950년대 중반 이래 저항이 계속되었다. 공산당 관리가 티베트에 처음 들어온 것이 1951년인데, 초기에는 티베트의 기존 지배계금을 통해 그 지역을 통치하고자 했다. 1956년부터 공공연한 게릴라전이 티베트 동부(지금은 사천성의 일부)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그러자 중국군이 티베트 전역을 점령하고 군정과 분할을 강요하였다. 대부분의 티베트인은 이제 인근의 운남(雲南)성, 사천성 그리고 청해성으로 편입된 지역들에 흩어져 살고 있다. 당시 약 5만 5천 명이 티베트의 정치적·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따라 망명하였다. |
| ||
|
|
|
|
|
겨울밀은 티벳의 토양에 적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토종 보리보다 훨씬 더 많이 토양의 필수 영양소를 고갈시켰기 때문이다. 겨울밀은 처음에 꽤 많은 양을 수확한 뒤에 급속히 산출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이 급격한 인구 증가와 경부된 사냥과 어로는 티베트 고원의 섬세한 자연 균형을 교란시켜 그것을 수세대 동안 사람이 살 수 없는 지대로 바꾸어 놓았다. | ||||
| ||||
|
그 결과는 몇 년 동안 지속된 기근의 만연이었다. 대약진 운동 직후의 상황이어서, 구호에 쓰일 비축 곡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었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 갔다. 곧이어 문화혁명의 공포가 뒤따랐다. |